logo
  • 주문/배송

  • 마이페이지

  • 장바구니

  • ABOUT KUVA
    • KUVA 소개
    • KUVA 활동
    • Our Team
    • Contact
  • COMMUNITY
    • 교류 프로그램
    • 동문 스토리
    • 지역 챕터
    • 동문 찾기
    • 동문 게시판
      • 질문답변
      • 1:1질문
      • 자유게시판
      • 프로그램 후기
      • 미국생활
      • 고민상담
      • 정보
      • 기타
  • NEWS
    • KUVA 소식
    • 대사관 소식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뉴스레터
  • PROJECTS
    • 프로젝트 지원사업
    • 지난 프로젝트
    • 프로젝트 FAQ
  • DONATE NOW
  • 회원가입
  • 로그인
  • 마이페이지
ABOUT KUVA
  • KUVA 소개
  • KUVA 활동
  • Our Team
  • Contact
COMMUNITY
  • 교류 프로그램
  • 동문 스토리
  • 지역 챕터
  • 동문 찾기
  • 동문 게시판
NEWS
  • KUVA 소식
  • 대사관 소식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뉴스레터
PROJECTS
  • 프로젝트 지원사업
  • 지난 프로젝트
  • 프로젝트 FAQ
DONATE NOW

대사관 소식

대사관 소식

총 43건의 게시글이 있습니다.

마감
주한미국대사관 TECH Talk:박찬준 테크니컬 리더

"Tech Talk"는 AI, 테크, STEM, 우주, 기후변화기술, 사회적기업가정신 등 다양한 기술 관련 주제의 토크쇼 강연 시리즈입니다.
각 분야의 다양한 연사분들을 초청하여 청년분들께 첨단산업/과학기술 관련 인사이트를 드리고자 합니다.
토크쇼 및 질의응답 시간이 진행되오니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본 프로그램 초청 메세지는 친구/지인들과 공유하셔도 좋습니다.

주한미국대사관 강연, Tech Talk : 자연언어처리 연구자가 되기까지의 모든 여정

"
초거대언어모델", "자연언어처리", "선한 영향력"
연사 : 박찬준 수석연구원(업스테이지) 님

약력 :
- 
포브스 선정 30 미만 30 Korea (2024)
- 
현) 업스테이지 수석연구원
   LLM (SOLAR) 
개발 참여
- 
고려대학교 박사 (컴퓨터공학, 자연언어처리)
- 
자연어처리 논문 180개 이상 등재
- 
전) SYSTRAN 연구원
- 
네이버 PH.D 펠로우십
- Microsoft AI Accessibility
Hackathon Korea 
우승

행사:
-
행사 일시 : 9월 12일(목) 15:00 - 17:00
-
행사 장소: 아메리칸 디플로머시 하우스 서울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72길 3)
-
접수 마감 : 9월 8일 자정 - (신청가능인원이 초과되면,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참석 확정은 9/9 오전 11:30 시까지 안내예정)

- 
유의사항:
1) 
행사 당일에 신분증을 필수로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2) 참석 인원 모두 개별적으로 신청서를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3) 
궁금한 사항을 사전질문란에 입력해주시면, 연사분께 사전 공유해 Q&A 시간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 
문의: (
PDseoulEV@state.gov)

 

- 참가신청: https://www.surveymonkey.com/r/TechTalk0912ParkChanJun



 



 

Aug 26, 2024

주한미국대사관 TECH Talk:박찬준 테크니컬 리더

KUVA관리자 0    823
마감
Youth in Action: 장애 인권 개선 프로젝트

‘오늘 가는 식당, 휠체어나 유아차 들어갈 수 있을까?’


평소 맛집의 메뉴와 리뷰는 손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그 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정보는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약자뿐 아니라, 모두를 위한 소셜임팩트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계단뿌셔클럽”의 두 대표님을 만나보세요.


우리 '가치' 계단 뿌시고 가실래요?


[일시] 2024년 8월 23일(금) 15:30-16:30  
[장소] 주한미대사관 별관, 아메리칸 디플로머시 하우스 서울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72길 3)  
[연사] 
비영리단체 계단뿌셔클럽 박수빈 & 이대호 대표

[주제] 뜻 밖의 계단: 우정과 기술로 사회 문제 해결하기
[신청링크] https://bit.ly/staircrusherclub (선착순 접수 마감일 8/20, 참가비 무료)

[문의] koreanextgen@state.gov  / 02-397-4770



 

Aug 07, 2024

Youth in Action: 장애 인권 개선 프로젝트

KUVA관리자 0    821
마감
Book Talk: 전수경 동문의 [2060 대한민국 …

“당신의 미래는 존재합니까?”


‘세대간 단절의 시대’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삶이 완전히 다른 세상이 도래했습니다.

현세대와 미래세대는 경제여건 재정여건 복지여건이 현저히 달라지고, 특히 미래

세대의 재정 복지 부담이 지나치게 폭증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세대간 단절의 시대를 유발한 3대 원인을 제시합니다.

첫째, 초저출산 초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미래세대 부담이 급증하고, 둘째, 경제성

장률 저하로 국가부채가 늘고 미래세대 부담이 가중되며,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로봇과 AI가 일자리를 전면 대체하는 등 미래세대의 위기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결국 저자는 지금 현세대가 천문학적 부채를 양산하여 미래세대에게 떠넘기고 있

지만 앞으로 미래세대들은 현세대가 떠넘긴 부채를 거부하고 복지공동체에서 대

거 이탈하면서 국가 재정과 복지를 중단시킬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이번 KUVA Book Concert는 “세대간 정의 법정”으로의 초대입니다.

이 시대를 살아나가는 청년세대와 중장년세대 그리고 투표권이 없는 어린 세대와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다 함께 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행사일정

• 일시: 2024년 8월 9일(금) 오후2시-4시

• 장소: 아메리칸 디플로머시 하우스 서울

              (지하철4호선 숙대입구역, 4호선/6호선 삼각지역)

• 참가신청: https://naver.me/5ssCjJ8H

• 행사 당일 미대사관 ‘아메리칸 디플로머시 하우스 서울’ 입장을 위해 반드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주민등록증/여권/운전면허증)을 지참하시기 바

랍니다.

• 참석하신 분들께는 전수경 동문의 저자 싸인이 담긴 [2060 대한민국 복지디폴트] 도서를 증정합니다.


행사 순서

• 2:00-2:05 주한미국대사관 교류 동문실 담당 보좌관의 오프닝, 저자 소개

• 2:05-2:10 한미비전협회 (미국 국무부 교류동문협회) 소개

• 2:10-2:30 집필배경과 책 소개

• 2:30-3:00 “당신의 미래는 존재합니까?” 주제 논의

• 3:00-3:20 Q&A

• 3:20~4:00 네트워킹 세션


저자소개

전수경 (IVLP동문)

-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및 석사

- KAIST 지식재산대학원 경영학 석사

-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로스쿨 법학석사 (LL.M.)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박사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실무위원

- 국회 정책연구위원 (2급)

-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교섭단체 전문위원


전수경 동문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교섭단체 전문위원과 국회정책연구위원

으로 11년 이상 국가재정 심의 현장에서 일해오며 우리나라 재정이 가진 많은 문

제점을 목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랜 시간 연구해왔습니다.

특히 해외 선진국의 재정운용 사례 연구에 주력했으며, 2023년 미 국무부 국제지

도자프로그램(IVLP)에 참여하여 미국 연방정부 및 주정부의 두 바퀴 재정운용에

착안하는 등 대한민국의 재정 복지 중단을 막기위한 해법을 모색하여 그 종합적

인 결과를 책으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집필배경

대한민국은 2060년에 재정 복지가 중단되는 사태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심각한 위기를 확인한 이상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결코 존립이 불가능 하다는 것을 선언하기 위해 책을 집필하였습니다.

무엇보다 현세대와 달리 훨씬 고통스럽고 힘든 경제 재정 여건하에 놓여있는 청년과 미래세대를 살리고자 대한민국 한 바퀴 케인스주의 재정운용의 문제점을 명

확히 짚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미래세대가 도탄에 빠지지 않도록 대한민국의 재정 복지 중단을 막기 위한해법도 제시하였습니다.


책소개

과연 당신은 앞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을 받을 수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 같이 세계 최고의 초저 출산율과 초고령화 현상 하에서 재정과 복지를 유지할

수 있는가? 이 책은 이에 대한 대답과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먼저 우리나라가 앞으로 2060년대에 이르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이 모두 중단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정부와 국회 자료를 토대로 추계한 결과 한 해8대 사회보험과 정부의 부채 규모만 1,000조원 가까이 육박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연금부채들은 결국 대부분이 정부채무로 전가되면서 재정과복지도 중단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그 결과 이미 많은 국제기관들이 우리나라가 초저출산율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소멸할 국가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저자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재정 복지 중단도 세

계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알라딘)




 

Jul 30, 2024

Book Talk: 전수경 동문의 [2060 대한민국 복지 디폴트]

KUVA관리자 0    831
마감
NOFO: 2025 Young Trilateral Le…


U.S. DEPARTMENT OF STATE U.S. EMBASSY SEOUL, PUBLIC DIPLOMACY SECTION 

Notice of Funding Opportunity (NOFO)



Funding Opportunity Title: 2025 Young Trilateral Leaders Network (YTL) Regional Workshops on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Funding Opportunity Number: PD-SEOUL-FY24-04 

Deadline for Applications: Wednesday, July 31, 11:59 p.m. GMT+9 

CFDA Number: 19.040 – Public Diplomacy Programs 

Total Amount Available: $120,000 



 A. PROGRAM DESCRIPTION 


Introduction: The Public Diplomacy Section’s (PD) of U.S. Embassy Seoul and U.S. Embassy Tokyo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are pleased to announce a Notice of Funding Opportunity (NOFO) for a series of regional workshops and accompanying virtual engagements on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to be run under a Cooperative Agreement as part of the 2025 Young Trilateral Leaders Network (YTL) program. YTL is a new initiative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2023 Camp David Trilateral Leaders’ Summit and 2024 U.S.-ROK-Japan Trilateral Global Leadership Youth Summit that seeks to include youth aged 20-35 in meaningful dialogue about the shared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acing the United States,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he inaugural YTL programmatic year will focus on a series of regional workshops that encourage Korean and Japanese youth to collaborate with -- and learn from -- American peer experts on issues related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Workshops should explore how youth living in the ROK, Japan, and U.S. can leverage new technologies to tackle the most challenging issues facing the Indo-Pacific region today. Potential programmatic topic areas could include:  


  - AI’s impact on democratic institutions and education systems 

  - Quantum computing 
  - Social media mis/disinformation 
  - Young women’s participation and success in STEM fields 
  - Semiconductors 
  - Games and immersive technologies as collaborative spaces 
  - Next generation clean energy technology 
  - Leveraging new technologies to encourage youth civic participation 
  - Space exploration 



Based on their organizational expertise, applicants may also propose other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y topics that are not listed here. Please refer to the White House’s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List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Target Audience: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and young professionals aged 20-35 from diverse backgrounds who work, study or have a demonstrated interest in critical emerging technologies, speak fluent English, and are interested in trilateral collaboration.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should be adjusted based on the available budget. Participants should reflec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s commitment to diversity, inclusion, equity, and accessibility 


Location: Workshops must take place in both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pplicants are strongly encouraged to submit proposals that include most of their programming outside of the Seoul and Tokyo metropolitan areas. Virtual components should supplement in-person activities. 


Timeline: Successful proposals should include a series of focused programs on topics of interest that will take place starting throughout 2025. 


Alumni Engagement: Proposals must explain how the inaugural program year will build a tight-knit network of program alumni and should include a robust and realistic alumni engagement plan. 


Monitoring and Evaluation (M&E): Proposals must include a substantive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 that sets clear goals and metrics to be tracked throughout the project. In addition, M&E plans should include data collection (via focus groups, surveys, etc.) of participant populations to capture their feedback on the program and opinions on broader trilateral cooperation. 


Misc: 

• Proposals must include an American element or connection with U.S. experts,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Proposals may include requests for international travel and related costs of experts, speakers, and key individuals in support of broader activities. 
• Given the nature of trilateral programs,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English – or if the target population lacks English fluency, must include interpretation. Programs whose exclusive goal is teaching English will not be considered. • Programs relating to partisan political activity; 
• Programs that involve travel to the United States or countries besides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 Charitable or development activities; 
 


The following types of programs are not eligible for funding: 


  - Construction programs; 

  - Programs that support specific religious activities; 
  - Fundraising campaigns; 
  - Lobbying for specific legislation or programs; 
  - Scientific research; 
  - Programs intended primarily for the growth or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or 
  - Programs that duplicate existing programs.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안내자료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Jul 03, 2024

NOFO: 2025 Young Trilateral Leaders Network (YTL) Regional W…

KUVA관리자 0    1,082
마감
NOFO: Promoting Economic Secur…

미국 국무부 서울 주한 미국 대사관 공공 외교과는 "경제적 안보 증진 및 신기술의 책임감 있는 사용 촉진"을 주제로 프로그램 신청을 받기 위한 공개 경쟁을 발표합니다.

신청 마감일은 2024년 7월 31일 수요일이며, 총 지원 가능한 금액은 $200,000입니다. 각 상의 최대 금액은 $100,000입니다.


프로그램 설명: 

이 공모는 2024년 민주주의 정상 회담 "미래 세대를 위한 민주주의"의 주제를 바탕으로 합니다. 이번 정상 회담은 한국이 주최하며, 민주주의, 투명성, 포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성공적인 제안은 미국의 정책과 관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미국의 요소 또는 전문가와의 연결을 포함해야 합니다. 또한 제안은 국제 여행과 관련 비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참가자 교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서울 대사관은 서울 수도권 외 지역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포함한 제안을 권장합니다. 프로그램 활동은 주로 대한민국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미국 또는 제3국에서의 프로그램은 강력한 정당성과 비용 분담이 있을 경우에만 고려됩니다.


프로그램 분야:


1.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경제적 안보 증진: 인도-태평양 지역은 글로벌 경제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역의 다자간 협정과 프레임워크의 전략적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안보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략적 프레임워크와 협정의 이점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예상 활동으로는 워크숍, 세미나, 정책 브리핑, 대중 인식 활동이 있습니다.

2. 신기술을 활용하여 글로벌 도전 과제 해결: 인공지능과 기후 기술과 같은 신기술은 기후 변화, 허위 정보, 전통적인 무역 시장의 변화 등 글로벌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글로벌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기술의 사용을 촉진하고, 기술 전문가와 다양한 청중 간의 지식 공유를 강화하며, 탄소 배출 감소, 허위 정보 대처, 전자상거래 변혁 등의 분야에서 신기술의 구체적인 적용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예상 활동으로는 워크숍, 해커톤, 멘토링 프로그램, 훈련이 있습니다.


참가자 및 청중: 

참가자는 다양성, 포용성, 형평성, 접근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미국 정부는 파티 정치 활동, 참가자 교환 프로그램, 자선 활동, 건설 프로그램, 특정 종교 활동, 자금 조달 캠페인, 특정 법안 또는 프로그램을 위한 로비 활동, 과학 연구, 조직의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기존 프로그램과 중복되는 프로그램은 자금 지원이 불가합니다.


지원 자격: 

미국 및 한국 기반의 비영리 단체, 공공 및 민간 교육 기관, 공공 국제 기관이 지원 가능하며, 한국 기반 비영리 단체와 미국 조직 간의 파트너십이 있는 경우 우선 고려됩니다. 이윤 추구 기관은 지원할 수 없습니다.


신청 방법: 

모든 신청서는 https://www.grants.gov/forms 에서 다운로드 받아야하며, 신청서가 미국 대사관 서울의 우선순위와 관련이 있는지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모든 서류는 영어로 작성되고, 모든 예산은 미국 달러로 작성해야 합니다. 

신청 마감일은 2024년 7월 31일 수요일입니다. 

모든 서류는 SeoulPDGrants@state.gov로 이메일을 통해 제출해야 합니다.



자세한 안내:

본 게시글 상단에 첨부된 안내자료(PDF파일)를 다운로드 받으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Jun 25, 2024

NOFO: Promoting Economic Security and Responsible Usage of E…

KUVA관리자 0    1,010
  • 초기화
  • 날짜순
  • 조회순
정렬
검색
  • 1
  • 2
  • 3
  • 4
  • 5
  • 6
  • 7
  • 8
  • 9

Search

 
 
 
  • 기관명
  • 한미비전협회 / Korea-U.S. Vision Association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1가 43-1 B129-6호
  • 이메일
  • kuva.southkorea@gmail.com
  • 대표번호
  • (+82) 070-4513-1517

COPYRIGHT 2020 Korea-U.S. Vision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공유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url복사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ABOUT KUVA
  • KUVA 소개
  • KUVA 활동
  • Our Team
  • Contact
  COMMUNITY
  • 교류 프로그램
  • 동문 스토리
  • 지역 챕터
  • 동문 찾기
  • 동문 게시판
  NEWS
  • KUVA 소식
  • 대사관 소식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뉴스레터
  PROJECTS
  • 프로젝트 지원사업
  • 지난 프로젝트
  • 프로젝트 FAQ
DONATE NOW
SEARCH
MEMBER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SERVICE
  • 장바구니
  • 주문 및 배송조회
  • 자주하시는 질문(FAQ)
  • 1:1 문의